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돌 전·후 비타민D 보충 지침과 과다복용 위험: 수유형태·계절·체중을 반영한 안전 가이드 생후 첫해의 비타민D는 단순한 ‘햇볕 비타민’이 아니라 뼈와 치아 광화, 칼슘·인 대사, 면역 균형에 핵심적이다. 그러나 모유수유·분유수유·혼합수유별 권장량, 이유식 시작 전후의 보충법, 포뮬러 섭취량에 따른 추가 보충 여부, 일조량이 적은 계절의 조정, 고용량 드롭 형태의 오·남용 위험까지 정확히 알지 못하면 “먹이긴 했는데 수치가 왜 이렇지?”라는 혼란을 겪기 쉽다. 본 글은 돌(12개월)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권장 섭취량과 상한섭취량, 드롭·스프레이·캡슐 등 제형 선택, IU↔㎍ 환산(1㎍=40IU), 과다복용의 경고징후(고칼슘혈증 증상)와 응급 대처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핵심은 ‘매일 적정량을 꾸준히’이며, 포뮬러 1L 내외를 마시는 영아에게는 추가 보충이 불필요할 수 있다는 점, 1세 이후에는.. 2025. 8. 20.
영아기 체중·키 정체 원인 감별: 영양·질환·환경 체크리스트 영아기의 체중·키 정체는 단순한 “밥을 덜 먹어서 그런가?” 수준의 문제가 아닐 수 있다. 성장의 일시적 흔들림과 병적 성장둔화를 구분하려면, 우선 정확한 측정과 월령·교정연령에 맞는 성장곡선 해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 다음 단계에서 수유량과 조제 농도, 이유식의 질과 철분 밀도 같은 영양 요인, 잦은 감염·빈혈·위식도역류·우유단백 알레르기·흡수장애·선천성 심질환·갑상선 기능 저하 등 의료적 요인, 수면 부족·수유 신호 미스매치·활동량 급증·가정 내 스트레스·양육 환경 변화 같은 생활/환경 요인을 차례로 점검해야 한다. 특히 두 번 연속 진료에서 주요 백분위선을 두 단계 이상 하강하거나, -2SD 아래로 내려가 회복되지 않는다면 조기 평가가 필요하다. 본 글은 보호자가 진료실에 들어가기 전까지 무엇을 .. 2025. 8. 20.
유아 성장곡선 제대로 읽는 법: 월령별 해석과 표준편차(z점수) 우리 아이의 성장을 숫자와 선으로 확인하는 ‘성장곡선’은 단순한 키·몸무게 표가 아니라 건강 상태와 발달 속도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의학적 도구이다. 그러나 월령에 맞는 차트를 고르는 법, 백분위수와 표준편차(z점수)의 차이, 선을 따라 ‘얼마나 잘 자라고 있는지’를 해석하는 방법을 제대로 아는 보호자는 많지 않다. 본 글은 만 0~5세 아동을 중심으로 WHO 성장기준을 바탕에 두고, 월령별로 어떤 지표를 우선 확인해야 하는지, -2SD·+2SD 선의 의미가 무엇인지, 백분위수의 흔한 오해(“50백분위=정상, 그 외=문제”)를 바로잡는다. 또한 미숙아의 교정연령 적용, 일시적 성장 정체와 병적 정체 구분, 하강/상승 ‘크로싱’의 경보 신호, 집에서의 정확한 측정·기록 요령까지 실무적으로 정리했다. 차트를.. 2025. 8. 20.